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이야기/회계, 세금

4대 보험 계산기 - 월급 실수령액 계산해보기

by 데이지러버 2021. 10. 20.
반응형

 

4대보험 계산기

직장인이라면 매달 받는 급여에 세금이 공제되고

실제 받는 실수령액과 급여는 차이가 있다는 사실을 잘 알고 계실 거예요.

 

 

4대 보험 항목으로는 국민연금, 건강보험(장기요양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이 있습니다.

실제로 근로자와 사업자 모두 부담하는 4대 보험 항목에는

국민연금, 건강보험(장기요양보험), 고용보험이 있고

산재보험은 사업자가 100% 부담합니다.

 

쉽게  한달에 받는 내 월급여를 기준으로 세금이 얼마나 공제되는지 알아보려고 합니다.

 

찾아줘 세무사 (findsemusa.com)

 

찾아줘 세무사! 국내 최대 세무사 비교 견적 어플리케이션

국내 1위 세무사 비교 플랫폼. 세무업무 고민이신가요? 귀하의 업무에 맞는 세무사를 찾아드립니다.

www.findsemusa.com

먼저 위 사이트인  찾아줘 세무사 사이트에 접속한 뒤,

 

무료 세금 계산기

여러 항목 중 무료 세금 계산기를 클릭합니다.

 4대 보험 계산기를 클릭하면,

자신의 월급, 연봉에 대한 세금을 계산해 보실 수 있으실 거예요.

 

2021년 개정 세율이 반영된 소득세, 지방소득세와 4대 보험이 반영된 금액을 확인하실 수 있으실 겁니다.

세전 급여를 기준으로  급여액에 입력해

부양가족수를 선택한 뒤, 계상해봅니다.

저는 월급 360만 원을 기준으로

부양가족수를 본인 1명으로 기입해줬습니다.

 

2021년 4대보험 세율

위는 2021년 4대 보험 세율에 대한 정보이니 한번 읽어보시길 바랍니다.

*위 계산 결과는 실제 결과와는 다를 수 있습니다.
*산재보험료는 음식점을 기준으로 산정되었습니다.
*고용보험료는 고안 직능 포함, 150인 이하 기업 가정으로 산정되었습니다.

 

계산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월급을 3,600,000원, 부양가족수를 1명(본인)으로 계산했을 때 총공제액이 498,370원으로

실제 수령 급여는 3,101,630원이 됩니다.

 

공제총액에는 근로소득세, 지방소득세, 국민연금, 건강보험, 장기요양보험, 고용보험이 

포함되어있습니다.

 

 

실제로 세금이 작지 않죠?

하지만, 근로자와 사업자 모두 부담하는 부분인 4대 보험은

우리가 살아가는데 꼭 필요한 부분으로 구성되어있습니다.

 

근로자 본인도 급여에 대한 세금이 얼마나 되는지 알고 있어야

조금 더 현명한 직장이라고 할 수 있지 않을까요?

내 급여는 소중하니까요^^

 

요즘은 정말 손쉽게 세금을 대략적으로 계산해 볼 수 있는 사이트들이 많이 생긴 것 같습니다.

추천해드린 사이트는 실제 세무사가 만들었기 때문에

정확도가 높다고 할 수 있을 것 같아요.

 

4대 보험 계산기 이외에도 

양도세, 증여세, 부가가치세, 종합소득세, 퇴직금, 주휴수당, 취득세 등도

계산해볼 수 있으니 활용도가 높은 사이트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좋은 정보가 되셨길 바라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