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돈버는 이야기/경제 공부

달러 외환 시차 투자법

by 데이지러버 2021. 3. 4.
반응형

외화 달러를 시차 투자로 소액 투자하는 법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이 글은 네이버 블로거인 흙마늘님(환린이들을위한 외환투자 기초와 시차 투자법 : 네이버 블로그 (naver.com))으로
배워서 저도 적용해본 투자법입니다.


1. 원리
우리나라와 미국은 시차로 인해 환율, 주식시장이 한국 장이 마감되면,
밤늦게 미국장이 시작됩니다.

한국의 원달러 환율은 은행업무 마감과 동시에 당일 환율이 다음날 외환시장 시작 전까지 고정되며,
미국의 외환 시장은 새벽 6시경 마감됩니다.
그러면 미국장이 끝나고 한국장이 다시 시작되는 6시경~8시경 사이에 갑작스러운 환율 차이가 발생할 때가 있습니다.
이를 통해 환차익을 얻는 투자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2. 과정

여기서 필수적으로 환전수수료(환전스프레드)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환전을 하기 위해서는 은행, 증권사 등을 이용하게 되는데, 이들은 환전을 해주고 일정한 수수료를 받습니다.
은행별로 고시 환율이 다른 것처럼 환전 수수료도 다 틀립니다.

▼ 환전수수료율 확인
환전수수료 > 은행수수료비교 > 금리/수수료 비교공시 > 전국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 (kfb.or.kr)

전국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

금융상품정보, 금리/수수료 비교공시, 금융서비스정보, 소비자정보, 금융교육

portal.kfb.or.kr

예를 들어 하나은행에서 환전을 했을때, 환전수수료 1.75%를 적용하여 1달러를 환전했을 때 드는 금액을 계산해보면,

1달러 1,127원이라고 했을때,

1,127 + (1,127 x 1.75%) = 1,146.722원

여기에서 은행 별로 80~90%의 환전수수료 우대를 해주고 있는데, 환전수수료 90% 우대를 적용시키면,
1.75%의 환전수수료가 아니라 0.175% 환전수수료율이 적용됩니다.

1,127 + (1,127 x 0.175%) = 1,128.972원

결론적으로 1달러를 1,128.972원에 바꿀 수 있는 것입니다.


3. 적용

먼저 전날 환율을 네이버에서 확인합니다.
finance.naver.com/marketindex/exchangeDetail.nhn?marketindexCd=FX_USDKRW

https://finance.naver.com/marketindex/exchangeDetail.nhn?marketindexCd=FX_USDKRW

1,128.20 원 전일대비 5.70 (+ 0.51% ) 2021.03.04 13:20 하나은행 고시회차 318회 1개월 3개월 1년 3년 5년 10년 환율계산기 (매매기준율 기준) 미국 달러 기준 대한민국 원 기준 관련 뉴스 [외환브리핑]美 국채

finance.naver.com


그리고 다음날 아침 인베스팅 닷컴에서 미국 시장의 원-달러 환율을 확인합니다.
kr.investing.com/currencies/usd-krw

USD KRW | 미달러 원 환율 - Investing.com

USD/KRW 미달러 원 환율 실시간 스트리밍 차트, 변환기와 기술 분석

kr.investing.com


차이가 10원 정도 이상 나는 날은 이 전략을 실행합니다.


2021.02.25을 예로 들면,

네이버 환율 1,109원으로 마감되었습니다.

미국 시장의 종가가 1,119원이었습니다.

차이가 10원 발생하게 되며, 만일 이 방법으로 1달러를 환전했다면,

환전
1,109원+(1,109 x 0.175%) = 1,110.940

재환전
1,119원+(1,109x0.175%) = 1,120.958

1달러당 10원을 벌게 됩니다.

그러나, 인베스팅 닷컴에서의 환율이 은행 첫 고시환율과 같지는 않기 때문에

안전하게 8원 이상 차이가 날 때 시도해보길 바랍니다.

은행별로 하루에 사고팔 수 있는 달러 금액도 다르고, 당일 재환전이 안 되는 은행도 있고,

각 환전 가능한 은행이나 금융 어플마다 환전우대 율도 다르니 미리 확인해보시길 바랍니다.

이런 날은 일 년에 자주 있지 않지만,

간단한 방법으로 점심값정도의 금액을 벌 수도 있기때문에 잘 살펴보셨음 좋겠습니다.


4. 환전 및 재환전이 가능한 어플

토스, 쏠, 카카오페이, 위비, 하나 원큐(1,000만 원 한도까지 가능)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