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돈버는 이야기/경제 공부

삼프로 주식 TV - 경기민감주 석유, 화학 업종 쉽게 이해하기

by 데이지러버 2020. 11. 25.
반응형

youtu.be/1 apLxRLVsSk

경기민감주, 그중에서도 접근성이 떨어지는 석유·화학 업계를 해부한다 [메리츠 증권 이다솔 차장] 

 
석유, 화학 업종 이해하기

석유, 화학 분야를 잘 모르는 분도 이해가 쉽게끔
설명을 잘해주셔서

추천해드리는 강의입니다.

 

 

 

※ 석유, 화학 업종의 주요 특징

 

석유, 화학 = 소재 = 원료

*소재 기업의 반등 : 실적 장세의 초입

 

1. B2B 산업이 많음

마케팅보다는 시황이나 전체 업황의 위치가 중요함.

 

2. 수요와 공급으로 인한 가격 결정

업황 다운사이클에서 공급이 적어지면 수요가 많아지고, 수익이 개선되는 구조를 가짐.

 

3. 제품의 스프레드(생산마진) > 제품의 가격

마진(제품 판매가 - 제품 원가)의 차이가 중요

 

NCC(석유에서 나오는 납사로 만들어지는 제품), ECC(천연가스에서 나오는 에탄가스를
원료로 만드는 제품)

최근 NCC의 경쟁력이 좋아지는 국면임

 

※ 소재산업의 사이클 판단

원료 가격 상승, 제품가 상승하는 국면이 슈퍼사이클

매출 증가에 따라 마진율이 증가하게 되있음

 

(CHECK) 원료 가격이 제품 가격에 전가될 수 있는지 판단은?

한경컨센서스)
하나금융투자의 윤재성(정유, 화학) 보고서 참고

 

※ 아시아 대부분이 석유화학 업체 : NCC 위주

코로나 이후 FED 유동성 공급 증가

많은 셰일 기업들이 파산

바이든 당선 시 셰일 기업은 더 어려워질 것으로 예상됨.(신재생 에너지 정책 중요성 부각)

셰일가스 생산량이 줄어들면 에탄 가격이 증가하고 ECC업체는 더 어려워질 것.(스프레드 감소)

NCC 업체에게는 우호적인 상황.

 

 

※ 석유화학 업종의 호황이 가져올 영향

소재와 해운 업황이 좋아지면?
석유화학, 정유, 철강 공장 증설 -> EPC 건설사 수혜

해운기업이 좋아지면 선박 발주-> 조선기업->
기계, 인프라 업체들 투자 증가

 

최근 정유, 화학주가 많이 오르고 있는 상태라 더욱
관심이 갔던 업종이었는데

이렇게 이해가 쉽게 정리해주는 분이 있다고 생각하니 참으로 대단하다고 느낍니다.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꼭 시간 내서 정리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삼프로TV

반응형